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, 정치부 정하니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시죠. 누군가의 사저 정치인데요? <br><br>이명박 전 대통령입니다. <br><br>윤석열 대통령의 특별사면으로 자유의 몸이 된 이 전 대통령이 내일 오후 2시부터 사흘간 자택에서 손님들을 맞이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Q. 앞서 사면된 박근혜 전 대통령 행보와는 대조되네요? 박 전 대통령이 누굴 만났다는 소식을 들어보지 못한것 같은데요. <br><br>네, 지난해 12월 31일 0시부로 특별 사면된 박근혜 전 대통령은 유영하 변호사를 제외하면 친박계 인사들과도 별다른 교류가 없는 것으로 전해지거든요. <br> <br>반면 이 전 대통령은 어제도 사저를 찾은 200명 가까운 인사들을 만났다고 하고요, 사흘 동안 초청한 인사가 500명에 달하는 걸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일단 이 전 대통령 측에서는 새해 인사와 덕담 나누는 자리라고 확대 해석은 경계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Q. 이 전 대통령이 앞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가능성도 있을까요? 최근에도 국민의힘 당권주자들이 이 전 대통령을 찾았잖아요. <br><br>당장 정치 행보에 나서진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.<br><br>4년 9개월 간 수감됐던만큼 새해를 맞아 그동안 못만난 사람들 얼굴 한번 보는 차원이라는 건데요, 다만, 이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"봄이 돼서 날이 풀리고 건강이 허락하면 사무실을 마련해볼까 한다"고 말했습니다. <br><br>이곳에서 정치권 인사들을 만나며 정치적인 메시지를 낼 가능성도 나옵니다.<br><br>Q. 과거 이 전 대통령은 퇴임 후에도 사무실을 마련해 정치 인사들을 만나며 목소리를 내곤 했었잖아요. <br><br>네, 당권 주자나 대선 주자들이 이 전 대통령을 찾아가 정국 현안을 논의하기도 했죠. <br><br>[홍준표 / 당시 자유한국당 대표](지난 2017년 4월) <br>"보수 우파 진영이 전부 위기에 있으니까." <br><br>[이명박 / 전 대통령] (지난 2017년 4월) <br>"보수가 명예를 좀 회복해야 돼. 상처를 많이 입었어." <br><br>이런 가운데 민주당은 이 전 대통령이 사면 복권시 벌금이 면제되는 점을 이용해 추징금은 다 내면서 벌금은 3분의 1만 냈다며 "비즈니스의 달인 답게 사면 재테크를 했다"고 비판했습니다. <br><br>Q. 두 번째 주제입니다. '봄에 시동?' 이낙연 전 대표 이야기에요? <br><br>연수차 미국에 머물고 있는 민주당 이낙연 전 대표의 새해 메시지를 두고 정치 복귀 시동을 거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이 전 대표는 오늘 SNS에 "그래도 봄은 온다"며 "끝까지 희망을 붙들고 새봄을 준비하자"고 새해 인사를 올렸는데요. <br> <br>"나라 안팎으로 걱정"이라며 "가족을 잃은 슬픔도 위로조차 받지 못한다"고 이태원 참사와 관련한 정부 대응을 비판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Q. 새 봄에 중의적 의미가 담긴 것 같은데, 이 전 대표 최근 정부를 겨냥한 메시지가 잦은 것 같아요. <br><br>네, 성탄절에도 "지금 대한민국은 방향을 잃고 있다"며 경제와 안보 위기에 "어떤 고민을 하는지 잘 보이지 않는다"고 꼬집었죠. <br><br>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본격화하는 시기에 이 전 대표가 현 정부와 각을 세우는 메시지를 잇따라 내놓으면서 복귀를 위한 몸풀기에 나선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Q. 친명계 입장에서는 이낙연 전 대표 조기 복귀설이 반가울 리는 없겠어요? <br><br>친명계 좌장인 정성호 의원 생각 들어보실까요. <br> <br>[정성호 / 더불어민주당 의원(어제, TBS '신장식의 신장개업')] <br>"당이 뭐 분당된다, 뭐 이낙연 등판설, 또 김경수 역할설, 뭐 이런 것들에 대해서 동요하거나 동의하는 분들은 저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 대개 뭐 언론에서 만들어낸 조어가 아닌가 생각합니다."<br><br>이재명 대표가 지지층 결집 행보에 집중하고 있지만 앞으로의 검찰 수사 상황에 따라 민주당내 계파간 셈법을 복잡해질 것 같은데요, 계묘년 새해 국민이 걱정하는 건 민생리스크 아닐까요. (민생먼저)<br>